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공부] 33. 기술적 분석(feat. 기본적 분석 ) - 차트의 3가지 속성

반응형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기본인 "차트"의 3가지 속성에 대해 얘기해보려 한다.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초로 시세를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적 분석과 상충되는 분석으로는 주식의 내재 가치를 분석하여 주가의 미래 방향을 예측하는 "기본적 분석"이 있다.

통상 "가치투자"라는 단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난 주식투자가 결국 확률게임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투자방법이든지 더 높은 확률로 수익이 날 거 같은 포지션을 잡고 배팅을 하는 것이다.

그 확률을 높이는 수단이 무엇인지에따라 투자방법이 달라지는데 일전에 투자법의 종류 포스팅에서 이를 설명한 바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다음 3가지 차트의 속성을 근거로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찾아낸다.

첫째, 추세 계속성

차트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때까지는 기존의 진행방향을 계속한다.

둘째, 반복성

차트 모형은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다.

셋째, 기업가치 회기성

주가에도 어느 정도 기업가치에 회기하려는 구심력이 있다. 이 내용도 기업의 내재가치와 주가 포스팅에서 설명한 바 있다.

위 3가지 속성을 바탕으로 수없이 시행착오를 겪으며 차트의 움직임을 익혀 점차 수익 낼 확률을 높여가는 것이다.

가령, *20일 가격이동평균선보다 3% 하락했을 때 매수 후 2% 상승했을 때 매도하는 등 자신만의 원칙을 찾아나가는 투자방법이다.

*N일 가격이동평균선(이평선): N일간 종가의 평균을 내 연결한 선

 

그래서 처음엔 빨리 돈을 벌고 싶다는 생각은 잠시 접어두고, 10만 원 정도의 돈으로 시작해 그 돈을 다 잃을 때까지 시행착오를 겪고, 다시 같은 식으로 반복하며 연습하는 것이 좋다.

나는 현재 기본적 분석을 통한 투자 위주로 하는 중인데 곧 기술적 분석을 통한 투자도 할 예정인데 두 가지 모두 할 줄 알아야 주식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기술적 분석을 통한 투자로 수익 내기가 더 어렵다고 생각해서 연습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반드시 적은 돈으로 시작하시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