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공부] 35. 봉차트(2) - 봉차트를 통한 매매전략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 봉차트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고 오늘은 봉차트가 어떤 식으로 형성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매매전략에 대해 포스팅할 것이다.

 

우선 봉의 종류에는 "양봉"과 "음봉"이 있다고 했다.

양봉은 시가보다 상승해서 마감했을 때, 음봉은 시가보다 하락해서 마감했을 때이며 전일 종가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봉차트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치열한 힘겨루기를 한 결과로 형성되며

 

1. 강한 양봉

 

 

아침 시가부터 시장이 종료될 때까지 강한 매입세력이 꾸준히 들어와 주가가 상승 마감했음을 알 수 있다.

몸통이 긴 상승선이 나타나면 주가가 상승국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승의 관점에서 주가를 본다.

2. 아래꼬리가 달린 양봉

 

 

장중에 일시적으로 시가보다 더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해 마감했음을 알 수 있다.

바닥권에서 해당 모양이 나타나면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상승전환의 의미로 본다.

매수세력이 강하므로 상승의 관점에서 주차를 본다.

3. 위꼬리가 달린 양봉

 

 

주가가 상승했으나 고가에서 매도세력에 밀려 결국 종가는 고가보다 낮은 가격에 마감했음을 알 수 있다.

주가가 *반락할 가능성도 있으나 상승세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락하다: <경제> 오르던 시세가 갑자기 떨어지다. <-> 반등하다

4. 십자가 모양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균형 있게 맞서 있는 상태로 주가는 소폭의 등락을 보이며 횡보한다.

시세가 전환되기 전에 나타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선 관망하고 다음에 나타나는 신호를 확인한 뒤 판단하는 것이 좋다.

 

5. 강한 음봉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계속해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천정권에서 긴 하락이 나타날 경우 하락 국면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락의 관점에서 주가를 본다.

*천정권: 바닥권의 반대

6. 위꼬리가 달린 음봉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위꼬리로 볼 때 상승도 실패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형태는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될 때 자주 나타나며 천정권에서는 매도 관점에서 보되 매수는 다음 봉 확인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다.

 

7. 아래꼬리가 달린 음봉

 

 

하락세를 나타내나 아래꼬리를 달고 있어 바닥권에서 매수가 들어와 반등의 가능성이 있다.

다음 신호를 확인하며 매수시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

 

8. 선만 있을 경우

 

 

 

 

 

 

 

 

 

위 경우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후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매매한다.

 

오늘은 봉차트가 어떤 식으로 형성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매매전략에 대해 포스팅해보았다.

차트에는 많은 것이 담겨있지만 결코 모든 게 담겨있진 않다.

차트를 보고서 지금까지 그래 왔으니 또 그럴 것이라고 믿는, 더 높은 확률에 배팅을 하는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수익을 낼 확률을 높이는 자신만의 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