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공부] 36. 봉차트(3) - 연결봉을 통한 매매전략

반응형

오늘은 세 번째 봉차트 이야기이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봉 하나하나의 모양을 통한 매매전략에 대해 알아보았고 오늘은 개별 봉을 연결해 주가의 향뱡을 더욱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1. 바닥권에서 큰 양선이 출현할 때

주가가 연일 하락하다가 멈추고 바닥권에서 큰 양선이 나타나면 주가는 상승 반전을 할 확률이 높으므로 매수관점에서 보되 다음 날 소폭 하락 시, 주가가 지켜지는 것을 확인한 후 매수하는 것이 좋다.

2. 바닥권에서 큰 음선이 출현할 때

하락하던 주가가 멈추는 듯하다가 추가로 큰 음선을 그리며 폭락하는 경우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이 추가 하락을 걱정하며 투매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때 거래량이 늘어나면 일정 기간 후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미 보유중이라면 일단 매도 후 추세를 관망하는 것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고 나중에 주가가 오를 것이라 확신한다면 추가 매수의 기회로도 볼 수 있다.

3. 천정권에서 큰 음선이 출현할 때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큰 음선을 그리며 하락한 경우 이익 실현을 위한 매물이 출회하였거나 악재가 나왔을 수 있으므로 추가 하락을 예상할 수 있다. 

매도 관점에서 보되, 상황을 점검하며 가치에 비해 주가가 많이 빠졌다고 생각될 경우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4. 천정권에서 큰 양선이 출현할 때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큰 양선을 그리며 추가 상승하는 경우 투자자들이 주가가 *조정될 때를 기다리다가 기회가 오지 않자 흥분해서 매수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곧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매도를 검토해 볼 수 있다.

*조정: 일정 기간 동안 주식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는 과정으로써 일정한 가격 제한폭을 가지고 주식 가격이 하락하는 것

5. 상승중에 상승갭이 발생했을 때

상승하던 주가가 가격의 *갭을 만들며 상승한 경우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더나 호재가 나왔을 때 투자자들이 흥분해 매수한 흔적이다.

추가 상승이 예상되므로 이미 보유한 종목이라면 매도는 늦추는 것이 좋다.

*갭(Gap): 인접한 두 개의 봉에서 한 봉의 저점이 다른 봉의 고점보다 높은 모양으로 매수와 매도 주문이 갑작스럽게 불균형을 이루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에 나타남 

6. 하락중에 하락*갭이 발생했을 때

하락하던 주가가 가격의 갭을 만들며 하락한 경우 상승갭과 반대로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보통 악재가 나왔을 때 투매한 경우이며 투매물량을 받은 세력은 *기술적 반등으로 수익을 거둘 확률도 있지만 가능한 매수 시기는 늦추는 것이 좋다.

기업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았다면 절호의 매수 찬스로 볼 수도 있다. 

*기술적 반등: 폭락세를 보이던 주가가 특별한 호재가 없는데도 상승세를 보이는 것. 투자자들이 주가가 너무 내려 싸다고 느끼는 시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주가가 계속 오를 것인지 확신이 없을 때 나타난다.

7. 천정권에서 장대 같은 윗꼬리가 발생했을 때

주가가 오른 상태에서 위로 긴 꼬리를 달고 있을 경우로 지나친 상승 때문에 매물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꼬리가 몸통보다 2~3배 이상 긴 봉을 흔히 역망치형이라고 부른다.

8. 두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의 차트

두 손을 모아 기도하는 모습의 차트 모양으로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번갈아가며 힘을 겨루는 모습으로 조만간 주가의 변화가 예상되는 모양이다.

보통 천정권에서는 매도 신호, 바닥권에서는 매수 신호를 보인다.

 

오늘은 이렇게 연결봉을 통한 매매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고는 하되 차트가 100% 맞는 것은 아니므로 맹신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