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공부] 38. 추세선(2) - 추세선을 이용한 매매방법

반응형

오늘은 추세선을 이용한 4가지 매매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주가가 지지선을 깨지 않을 때가 살 때고, 저항을 뚫지 못할 때가 팔 때다."

 

여기에 2가지 팁을 더 추가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승추세를 이탈하지 않을 때가 매수 or 보유할 때고, 이탈할 때가 매도할 때다."

둘째, "하락추세를 돌파하지 않을 때가 매도 or 관망할 때고, 돌파할 때가 매수할 때다."

 

차트를 보면서 자세히 살펴보자.

1.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일 때 매매방법

상승추세일 때는 매수와 보유의 관점에서 차트를 봐야 한다. 추가가 상승추세선을 하향 돌파하기 전까지는 매수한 주식을 쉽게 팔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돌파하면 매도해야 한다.

반면 하락추세일 때는 매도와 관망의 관점에서 차트를 봐야 한다. 하지만 주가가 하락추세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한다.

 

2. 지지선과 저항선에 따른 매매방법

평행추세선은 지지선과 저항선을 알려준다. 주가가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으면 매수하고, 저항선을 뚫지 못하면 매도한다. 반대로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할 경우 보유 및 매수한다.

 

3. 가파른 추세선을 때 매매방법

지나치게 가파른 추세선의 경우 조심하는 것이 좋다. 지난 포스팅에서 말했듯 적당한 기울기는 45도 정도이지만 가파른 추세선일 경우 주가가 추세선을 이탈할 때 언제든 매도할 준비를 해야 한다.

가파른 추세선이 붕괴된 후 최근의 고점을 다시 시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거래량이 직전 고점대의 거래량에 미치지 못하면 매도해야 한다.

그 이유는 직전 거래에서 이루어진 거래 중 하락 시 미처 매도를 못한 대기성 매물을 소화하지 못한다면 전 고점을 돌파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추가로 사려고 하는 사람이 많지 않으면 미처 팔지 못했던 사람들이 계속 팔기 때문에 올라갈 힘이 없다는 것이다.

 

4. 거래량에 따른 매매방법

거래량은 매매를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추세선과 함께 보면 더욱 도움이 된다.

추세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세가 유지되고, 반대로 거래량이 움직이면 추세 반전을 경고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주가는 상승하고 있는데 거래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우, 또는 주가는 하락하고 있는데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는 조만간 주가의 반전이 예상된다는 뜻이다.

 

오늘은 이렇게 4가지 매매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차트를 보면 추세를 잘 지키는 종목들이 있는데 이런 종목들을 선별해서 조금씩 매매해보면서 연습하면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