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 공부] 2. 주식 용어와 친해지기(2) - 자본금, 유상증자/무상증자, 유상감자/무상감자, 권리락

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선 주식과 증권시장에 대해 다루었다. 주식회사가 처음에 설립될 때 투자자들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증표로서 주식을 받는다고 했다.

그리고 이렇게 모인 투자금이 바로 그 회산의 자본금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1인당 100만원씩 10명이 투자했다면 자본금은 1,000만원이 되고, 1주의 금액(*액면가)이 1만원이라면 주식은 1,000주를 발행해야 한다. 이제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금액만큼 주식을 가져가므로 각각 100주씩 갖게 된다.

여기서 만약 1주라도 내가 갖게 된다면 나는 이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이다.

 

 

*액면가: 쉽게 말해서 주식의 실제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의 예시에서 액면가는 1주당 1만원이다. 하지만 증권시장에서 이 주식이 거래될 때는 1만원이 아닌 우리가 소휘 말하는 "주가"로 거래가 되는 것이다. 기업이 돈을 잘 벌고 가치가 높아질 수록 주가는 올라가게 된다.

참고로 1주당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원까지 총 6종류의 금액이 기입되어 있는 액면 주식이 있고, 무액면 주식이 있다. 갈수록 액면가의 의미가 퇴색되어 가고 있으나 액면가는 확인해보는 것이 좋음.

잠깐 다른 소리를 하자면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서 이러한 주인의식과 동업자로서의 마음가짐이 굉장히 중요하다.

주식을 살 때 단 1주를 사더라고 내가 이 회사의 주인이 되고 경영자와 동업자가 된다는 생각으로 투자를 한다면 절대 부실한 회사나 믿음직스럽지 못한 회사에 투자할 수 없다. 사기를 당한다면 모를까...

 

 

아무튼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모인 자본금은 대체로 그대로 유지가 되는 편이나 때때로 상황에 따라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는데 늘어나는 것을 "증자", 줄어드는 것을 "감자"라고 한다.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증자"란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위 예에서 만약 증자를 해 1,000주를 더 발행한다면 회사의 자본금은 2,000만원이 된다.

이때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투자자들이 돈 주고 사면 "유상증자", 그냥 받으면 "무상증자"라고 한다.

 

 

"감자"란 기업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합병할 때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다시 한 번 위 예에서 만약 감자를 해 500주를 줄인다면 자본금은 500만원이 된다.

증자와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주주에게 돈을 주고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유상감자", 아무 대가 없이 주식 수를 줄이는 것을 "무상감자"라고 한다.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주식을 공짜로 주는 "무상증자"와 내 주식을 돈 주고 사가는 "유상감자"가 좋아보인다. 주식을 막 사라고 하거나 아무런 대가 없이 내 주식을 가져가면 기분이 좋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상증자"와 "유상감자"는 호재로 생각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가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언제나 예외는 있듯이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결국 기업의 재무상태나 사업의 방향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결국엔 증자나 감자를 하는 이유와 목적이 중요하다. 공식처럼 외우기보단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판단하고 대처해야 한다.

가장 좋은 건 돈 잘 벌고 주주들 뒤통수 안 치는 건실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상증자 시 발생하는 "권리락"에 대해 설명하고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10만원짜리 주식을 10주 가지고 있던 주주가 50% 무상증자를 받게되면 주식수가 15주가 된다. 공짜로 5주를 더 받았으니 50만원을 공짜로 번 꼴이 된다.

하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다. 공짜 좋아하다간 골로 간다.

무상증자 전 주가를 낮추어 수익률을 조절하는데 이를 "권리락"이라고 한다. 즉, 10만원짜리 10주면 100만원이니까 무상증자 후 15주를 가지고 있어도 100만원이 되도록 주가를 낮춘다는 것이다.

100만원 / 15주 = 약 6.66만원

하지만 실제로 보면 사람들이 갑자기 주가가 싸졌다고 생각해서 주식을 사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 상승해 6.66만원보단 비싸게 주가가 형성된다.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려고 했는데 이해가 잘 될지 모르겠다. 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같이 고민해서 해결해나가면 될 거 같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