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돈"에 대한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
돈을 잃기 위해 투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를 비롯해 당신은 돈을 왜 벌고 싶어하는가?
사람마다 이유는 각기 다르겠지만 누구나 돈을 많이 벌고 싶어하면서 막상 돈 얘기를 하거나 부자를 볼 때면 왠지 모를 거부감이 스물스물 올라온다.
그래서 나는 책이나 유튜브, 블로그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돈에 대한 관점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했다.

돈은 우리 주변에 너무나 가까이 있고 삶 속에 녹아들어 있기에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고, 이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해본 적이 거의 없을 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 "돈이 뭔가요?" 라고 묻는다면 당신은 뭐라고 대답하겠는가?
물론 사전에 정의가 나와있긴 하지만 아마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마치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긴 하지만 이를 누군가에게 설명하라고 하면 잘하지 못하 듯 돈도 이와 마찬가지 이다.
우리가 겪는 많은 문제들 중에 그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 가다보면 대부분 돈과 관련돼 있는 경우가 많다.
만약 인생을 살면서 돈과 관련된 문제들만 해결돼도 참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돈"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까?
너무나도 유명한 말이지만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에 가장 먼저 얘기하도록 하겠다.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이 말을 들으면 무슨 느낌인진 알겠지만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참 막연하다. 앞으로 공부를 하면서 이를 찾아가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주식투자이고, 워런버핏은 말했다.
"만약 당신이 자는 동안에도 돈을 벌 방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당신을 죽을 때까지 일을 할 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돈은 인생의 목적이 될 수 없으며, 단지 행복한 삶을 살기위한 수단 혹은 도구에 불과하다.
돈이 있다고 다 행복한 것은 아니다. 다만, 돈으로 행복을 살 순 없으나 자본과 타인의 노동력을 이용해 자유는 살 수 있다. 자유는 행복을 위해 필수적이다.
요새 심심치 않게 들리는 "소확행"이라는 말이 진가를 발휘할 때는 소소한 것"만" 할 수 있을 때가 아니라 소소한 것"도" 할 수 있는 시간과 돈의 여유가 있을 때이다.

사장 가르치는 사장 혹은 김밥파는 CEO로 알려진 SNOWFOX의 김승호 대표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쓰는 능력, 불리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은 각기 다른 능력임을 인지해야 한다."
나는 길게 봤을 때 버는 능력보다 그 이외의 능력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이 능력들을 키우기 위해 노력중이다.
월 400만원을 버는 A와 월 200만원을 버는 B가 있다고 하자. A는 350만원을 쓰고 50만원을 남기고, B는 100만원을 쓰고 100만원을 남긴다면 나는 A보다 B가 더 부자라고 생각한다.
돈의 그릇은 오직 직접 돈을 다루어보고 실패하면서 경험을 쌓아야 키울 수 있다. 1억을 다뤄본 사람은 1억의 그릇이고, 100억을 다뤄본 사람은 100억의 그릇인 것이다.
나는 나의 그릇을 최대한 키우고 싶다.

그럼 우리는 도대체 왜 돈에 대해 공부하고 관점을 바꿔야 하는 걸까?
김종봉투자자님과 제갈현열님의 "돈 공부는 처음이라" 라는 책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1. 돈을 알면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시기 질투하지 않고 돈에 현혹되지 않을 수 있다.
2. 돈을 목적을 교환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로 맞이할 수 있게 된다.
3. 남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자신을 위해 일해야 함을 알 수 있게 된다.
4. 돈이 돈을 모은다는 사실이 착각임을 알게 된다.
궁극적으로 자본주의사회에서 막연하게 돈을 좇고 허덕이면서 돈에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돈 위에 서기 위해서이다.

지금도 나는 돈에 대해 계속 공부중이다.
요새는 상승미소님의 "돈의 감각"이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상승미소님께서는 현재 신용화폐 시스템에서 돈은 "신용"이자 "빚"이라고 하셨다. 다음에 기회가 있으면 이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다.
돈을 좋아하고, 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돈에 대해 진지하게 공부해보셨으면 좋겠다. 이제 돈 공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대한민국의 금융 문맹이 없어지는 그날까지 함께 달려갔으면 좋겠다.
'주식 > 개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공부] 1. 주식 용어와 친해지기(1) - 주식, 증권시장, 공모주 청약 (0) | 2020.02.03 |
---|---|
주식투자 공부 전 마인드셋(Mindset) (0) | 2020.02.02 |
주식투자 공부, 초심으로 돌아가자 (0) | 2020.01.30 |
우한 폐렴과 주식 투자 대응 방법 (0) | 2020.01.28 |
많은 투자 중 왜 하필 주식을 추천할까?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