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 공부] 16. 실전 주식 매매하기 - 주문창, 주식종합, 매수 주문, 매도 주문, 정정/취소 주문

반응형

오늘은 실전 주식 매매하기에 대해 포스팅할 것이다. 저번 포스팅은 매매하는 데 있어 크게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오늘은 정말 실전 매매다. 오늘은 돈이 걸린 실전에 관련된 만큼 굉장히 중요하기에 글이 꽤 길어질 거 같다.

글 마지막 부분에 나름 꿀팁이 있으니 끝까지 보시길 바란다. 급한 분들은 마지막만 봐도 된다.

주식을 매매하는 창은 굉장히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영웅문과 카이로스를 각각 보면 굉장히 많은 주문창이 있다.

 

 

매매를 할 땐 본인이 편한 창을 사용하면 된다.

"호가창"과 "주문창"을 따로 키고 하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나는 "주식종합" 창에서 차트와 잔고를 보면서 매매하기 때문에 "주식종합" 창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음은 영웅문의 "주식종합" 창이다. 우리가 볼 부분은 빨간 박스로 왼쪽이 호가창이고 오른쪽이 주문창이다.

처음에 보면 이것저것 많아서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알고 나면 별거 아니니 겁부터 먹지 말자.

 

 

호가에 대해서는 [주식투자 공부] 4. 주식 용어와 친해지기 - 시가, 종가, 상한가, 하한가, 변동성완화장치(VI), 사이드카(Sidecar),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 편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호가의 사전적인 뜻은 팔거나 사려는 물건의 값을 부르는 것인데, 증권 시장에서 내가 어떤 가격에 팔겠다고 하면 매도 호가이고, 사겠다고 하면 매수 호가라고 한다. 이 두 가격이 맞을 때 거래가 발생한다.

가운데 호가들이 쭉 있고 왼쪽 상단 파란색 막대기들과 숫자가 바로 매도 호가 수량들을, 오른쪽 하단 빨간색 막대기들과 숫자가 바로 매수 호가 수량들을 나타낸다.

딱 봐도 숫자가 커지면 막대기가 길어질 거 같다. 시각적으로 물량이 얼마나 쌓여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HTS든 MTS든 보통 파란색은 하락과 매도를 의미하고, 빨간색은 상승과 매수를 의미한다.

 

 

위 사진에서 "키움증권"이라는 종목이 66,900원에서 시가로 시작해 3.22% 하락한 66,100원에 시장 가격이 형성되었고 결국 66,100원으로 장이 마무리되었다.

참고로 2월 28일 장이 끝나고 나서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를 캡처한 것인데 시간 외 거래가 더 있긴 하지만 지금은 넘어가도록 하자.

현재 시장이 끝나지 않은 상태라고 가정하고 매수 창에 수량과 가격을 선택하고 현금매수(F9)를 누르면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면서 매수주문이 들어가지 않는다.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한번 수량과 금액을 체크한 후 매수 주문을 넣으면 된다.

아니면 매수 주문을 넣기 전에 위에 빨간 박스에 미리 입력하면 된다. "매번 자동입력"을 해놔도 되는데 난 주문을 잘못 넣을까봐 하지 않았다.

나도 몇 번 했던 실수지만 주문을 넣을 때 마음이 급해서 그런지 진짜 실수를 꽤 많이 하니까 매수든 매도든 여유를 가지고 두 번, 세 번 확인하자.

참고로 "신용"이나 "미수" 버튼은 처음이라면 절대 건드리지 않는 게 신상에 좋고, "종류"에는 다양한 주문 방법들이 있는데 나도 별로 활용은 안 하고 있어서 이런 게 있다 정도만 알고 그냥 보통으로 놓고 매매하면 된다.

 

 

매도는 매수 주문이 체결된 후에 종목을 보유하고 있어야 가능하다. 내가 원하는 종목을 수량과 가격 입력 후 매도 주문을 넣으면 된다.

만약 매수 주문을 잘못 넣었다면 "정정/취소"를 통해 정정해주면 되는데 매수를 하는데 너무 싼 가격에 하거나 매도를 하는데 너무 비싸게 한 경우 정정하면 되고, 마음이 바뀌었다면 그냥 취소하면 된다.

 

 

주문이 들어가면 고유한 번호가 부여되는데 만약 여러 개의 주문을 넣었다면 정정 및 취소하고 싶은 주문의 번호를 선택해야 한다.

번호 옆에 "미" 버튼을 눌러서 주문을 선택하고 원하는 수량과 가격을 입력하고 정정하거나 아예 취소해버리면 된다.

"잔량전부"는 말 그대로 미체결된 주문을 전무 바꾼다는 뜻이고, "자동(미체결 100%)"는 정정 및 취소주문이 가능한 미체결 잔량 전체 수량이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버튼이다.

마찬가지로 "자동(주문가)" 또한 내가 주문한 가격을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버튼으로, 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가격으로 정정하면 편하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버튼들이 있는데 호가창 오른쪽 상단에 "투, 거, 외, 일, 차, 뉴, 권, 기" 버튼은 해당 종목의 여러 정보를 볼 수 있는 버튼으로 새로운 창이 열린다.

앞글자만 봐도 대충 느낌이 오니까 한 번씩 눌러보면서 확인해보시기 바란다.

호가창에 있는 종목 이름 옆에 왼쪽 아래, 오른쪽 위 초록색 색칠된 버튼을 누르면 호가창에 있는 정보들이 바뀐다.

이것도 누르면서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그 옆에 톱니바퀴 모양은 설정 버튼으로 호가창을 입맛대로 변경할 수 있다. 사실 복잡해서 만지기 싫다....

 

 

자, 여기까지 오시느라 수고 많으셨으니 이제 나름 팁을 하나 드리도록 하겠다.

"현재가 설정" 창에서 "당일 시, 고, 저가 표시" 버튼을 누르면 창 안에 있는 것과 같이 시가는 초록색, 저가는 파란색, 고가는 빨간색으로 표시돼있는 걸 볼 수 있다.

즉 주가가 54,200원에 시가로 시작했고, 53,800원을 찍고 올라왔고, 54,900원까지 찍고 내려와서 현재 54,500원에 시장가가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게 단기 트레이딩을 할 때 시가, 저가, 고가를 한눈에 볼 수 있어 꽤 유용하다.

아마 "정적 VI발동 예상가 표시"는 자동으로 체크가 되어 있을 것이다.

 

오늘은 포스팅이 굉장히 길었는데 아마 지금까지 포스팅 중에서 가장 긴 거 같다.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치 않으니 이해가 잘 안 되면 두, 세 번씩 읽어보시길 바라며 만약 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다.

그럼 이만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