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 공부] 13. HTS 살펴보기(4) - 여러가지 차트와 지표(feat. 가격 이동평균선, 거래량, 매물대차트)

반응형

오늘은 여러 가지 차트 종류와 차트에서 사용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HTS는 하나의 창마다 다양한 기능들이 있는데 사실 사용하는 기능은 그렇게 많지 않다. 하지만 내가 포스팅하는 내용은 기본적이면서도 꽤 유용하게 쓰이는 것들이니 최소한 이 정도는 알아야 한다.

알고 안 쓰는 거랑 몰라서 못 쓰는 거랑은 다른 거니까.

UI만 좀 다르지 대체로 비슷하기 때문에 오늘은 키움증권의 영웅문으로만 설명을 할 것이다.

우선 "주식종합차트"를 켜보자. 지금 내 차트 상태는 다음과 같다.

1. 차트형태: 봉차트

2. 지표
위에 큰 차트 - 가격 이동평균선
아래 작은 차트 - 거래량, 개인 보유 수량, 기관보유수량, 외국인보유수량

가격 이동평균선은 가장 많이 쓰는 지표로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한다. 개념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겠지만 가격의 평균을 낸 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5일선이면 5 거래일 동안의 종가 평균을 낸 가격을 연결해 놓은 선으로 일주일 가격의 평균선을 나타낸다.

 

그럼 지표는 어떻게 추가하면 되는지 알아보자.

차트 위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 뜨는데 "지표추가"를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작은 창이 뜨는데 거기서 내가 원하는 지표를 찾아 추가해주면 된다.

주식 공부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여러 지표들을 알게 될 것인데 나도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 정도밖에 모른다.

내가 지켜보니 주식의 고수들은 이런저런 지표를 다 써보고 부질없음을 느낀 후 가장 기본적인 "가격 이동평균선"과 "거래량"만 보더라.

심지어 "이동평균선"도 간단하게 해 놓고 매매를 한다.

나는 기존에 이미 선이 있었기에 달라진 게 없지만 만약 없었다면 여러 개의 선들이 추가된다.

사실 맨 처음에 시작해도 디폴트 값으로 "이동평균선"이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저 선들의 굵기나 색깔, 심지어 평균을 내는 일수도 바꿀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5일선을 3일선으로 바꾼다거나 120일선을 240일선으로 바꾼다거나 할 수 있다.

바꾸는 방법은 차트화면 왼쪽 상단에 "종가 단순 5 10 20 60 120"을 더블클릭하거나 직접 이동평균선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뜰 것이다.

여기서 일수, 지표 색깔, 굵기, 표시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5개 이상 설정하고 싶다면 "이동평균선"을 하나 더 추가해서 수정해주면 된다.

 

다음은 여러 가지 차트와 형태를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

차트 왼쪽에 "차트형태"를 클릭하면 다양한 차트들이 나온다. 기본적으로 "봉차트"로 되어 있을 것이고, 나는 "매물대차트" 외엔 사용해본 적이 없다.

"매물대차트"는 사람들이 어떤 가격에 매수를 얼마나 많이 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차트이다.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매물"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될 것이다.

보통 차트가 박스권에서 왔다 갔다 할 때 거기에 매물이 쌓여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매물이 많이 쌓여있으면 물렸던 사람들이 그 가격이 오길 기다렸다가 팔아버려서 주가가 상승하기 힘들다.

오늘은 여러 가지 지표와 차트를 어떻게 찾고 설정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차트 오른쪽엔 다양한 도구들이 있으니 하나씩 눌러보면서 어떤 기능인지 한번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럼 오늘은 이만 포스팅을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