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주가 이동평균선, 거래량 이동평균선 두 가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주가의 방향을 파악한다.
1. 상승추세: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주가는 상승추세라고 볼 수 있다. 주가가 3일, 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는 동안에는 상승추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다.
2. 하락추세: 이동평균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는 하락추세라고 볼 수 있다. 주가가 3일,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동안에는 하락추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다.
3. 횡보추세: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옆으로 쭉 늘어지면 주가도 주가도 횡보할 확률이 높다.
둘째, 매수/매도 시점을 파악한다.
1. 상승 전환: 하락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강하게 상향 돌파하면 매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주가가 5일, 20일 이동평균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상승으로 돌아서면 강력한 매수 신호다.
2. 하락 전환: 상승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강하게 하향 돌파하면 매도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주가가 5일, 20일 이동평균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하락으로 돌아서면 강력한 매도 신호다.
3. 횡보국면: 이동평균선이 횡보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상승전환하면 매수, 하락하면 매도 시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오랜 기간 횡보 후 이동평균선들이 주가에 수렴하고 나서, 주가가 이동평균선들을 상향돌파하거나 하향돌파하면 상승폭이나 하락폭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활용한다.
각각의 이동평균선은 지지선과 저항선 역할을 한다.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지지선으로, 아래 있으면 저항선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하던 주가가 5일선을 하향 돌파할 경우 1차적으로 20일선, 그 다음은 60일선, 그다음은 120일선의 지지를 받을 확률이 높다.
넷째, 장기/단기 이동평균선의 모양을 활용한다.
지금까지는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관점에 봤다면 네 번째 활용법은 장기/단기 이동평균선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다.
1. 정배열
위에서부터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00일선 순서로 배열되어 상승하고 있을 때 "정배열" 상태라고 한다.
이때는 주가가 계속해서 상승할 확률이 높으므로 매수 또는 보유의 관점이고, 매도는 정배열이 끝날 때까지 보류한다.
2. 역배열
아래에서부터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00일선 순서로 배열되어 하락하고 있을 때 "역배열" 상태라고 한다.
이때는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할 확률이 높으므로 매도 관점이고, 매수는 역배열이 끝날 때까지 보류한다.
3. 골든크로스
5일선 같은 단기 이평선이 60일, 120일선 등 중장기 이평선을 급격하게 상향 돌파할 때를 "골든크로스"라고 하며, 매수 관점으로 본다.
4. 데드크로스
5일선 같은 단기 이평선이 60일, 120일선 등 중장기 이평선을 급격하게 하향 돌파할 때를 "골든크로스"라고 하며, 매도 관점으로 본다.
오늘은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관점에서 3가지 활용법과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관점에서 1가지 활용법, 이렇게 총 4가지 활용방법을 알아보았다.
처음에는 여러 가지 선들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겠지만 천천히 살펴보고, 이번 기회에 익혀 놓으면 나중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주식 > 개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공부] 45. 차트, 이동평균선, 거래량 등 여러 지표가 애매할 때는 어떡하지??(feat. 여러가지 보조지표) (0) | 2021.01.09 |
---|---|
[주식투자공부] 44. 거래량 분석 (0) | 2021.01.06 |
[주식투자공부] 43. 이동평균선(1) -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두 종류(주가 이동평균선, 거래량 이동평균선) (0) | 2021.01.02 |
[주식투자공부] 42. 봉차트(7) - 슈퍼개미 배진한 캔들 지속형 패턴 (0) | 2020.12.27 |
[주식투자공부] 41. 봉차트(6) - 슈퍼개미 배진한 캔들 하락전환 패턴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