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개념공부

[주식투자 공부] 12. HTS 살펴보기(3) - 관심종목

반응형

지금까지 기본적인 "차트"창과 "주식종합"창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관심종목"창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내가 주식투자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접했던 창이 바로 "관심"종목 창이었던 거 같다.

처음 시작할 때 아버지께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종목들을 추가해주셨기 때문이다. 오래 돼서 기억이 잘 안 나지만 삼성전자가 포함되어 있었던 건 확실히 기억난다.

사실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어떤 종목을 담아야 할지 잘 감이 안 온다. 우선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는 코스피를 대표하는 종목들이니 추가해주는 게 좋을 것이다.

그리고 평소에 관심 있었거나 들어봤던 것들 중 기억에 남는 것이나 그냥 좋아하는 기업들을 추가하는 것이다. 그룹을 나눌 수 있지만 일단은 그냥 다 담아보는 것부터 시작하자.

카카오, 네이버, 현대 등등 거의 웬만한 기업들은 다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종목들의 가격이나 차트를 보고 '지금은 이런 상태구나' 하면서 느끼고 점점 주식에 가까워지면 된다.

 

그럼 종목은 어떻게 추가하면 될까?

우선 "관심종목"창을 킨다. 기본적으로 검색창 같은 게 있고 작은 버튼들이 많은데 검색창 왼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관심그룹"창이 나오는데 이건 열어도 되고 닫아도 된다.

중요한 건 종목을 담는 건데 영웅문에서는 "등록" 버튼을, 카이로스에서는 톱니바퀴모양 "설정" 버튼을 누른다.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가각 뜨는데 그룹을 만들고 싶다면 영웅문과 카이로스 둘 다 "새그룹" 버튼을 눌러 그룹을 만들어주면 된다.

종목 추가는 "등록할 종목" 부분에 원하는 종목을 검색하고 엔터를 치거나 화살표 버튼 혹은 종목추가를 눌러주면 된다.

 

"관심종목" 창은 다양한 그룹뿐만 아니라 관심종목 창을 만들 수 있는데 화면이 크면 다양하게 나뉜 창을 만들수 있다.

사실 창을 엄청 나눠서 할 정도면 투자경력이 엄청 많이 돼야 할텐데 나도 그렇고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아직 그 단계는 아닐테니 그런 게 있구나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될 거 같다.

영웅문도 비슷한 위치에 "멀티설정"이 있어서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필드" 설정을 할 수 있는데 관심종목창에서 종목의 손익이나 재무현황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재무(결산)"으로 바꾸니 PBR, EPS, 배당수익률, 매출액(억), 매출액영업이익률, 부채비율, ROA, ROE 가 생겼다.

위 단어들은 재무용어인데 다 영어 약자라 지금은 무슨 뜻인지 모르고 낯설어도 점점 익숙해질 것이다.

 

오늘은 "관심종목" 창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종목추가는 그리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것저것 봤지만 뭐니뭐니해도 관심종목을 보기 좋게 정리해놓으면 된다.

나는 내가 가지고 있는 종목과 유심히 들여다보는 종목, 섹터별 종목 등으로 나누어놨지만 본인이 생각하는 기준대로 나누고 잘 확인할 수 있으면 장땡이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