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

[주식투자공부] 33. 기술적 분석(feat. 기본적 분석 ) - 차트의 3가지 속성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기본인 "차트"의 3가지 속성에 대해 얘기해보려 한다.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초로 시세를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적 분석과 상충되는 분석으로는 주식의 내재 가치를 분석하여 주가의 미래 방향을 예측하는 "기본적 분석"이 있다. 통상 "가치투자"라는 단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난 주식투자가 결국 확률게임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투자방법이든지 더 높은 확률로 수익이 날 거 같은 포지션을 잡고 배팅을 하는 것이다. 그 확률을 높이는 수단이 무엇인지에따라 투자방법이 달라지는데 일전에 투자법의 종류 포스팅에서 이를 설명한 바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다음 3가지 차트의 속성을 근거로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찾아낸다. 첫째, 추세 계속성 .. 더보기
[주식투자 공부] 23. 여러 가지 지표들 - 자기자본이익률(ROE), 주당순이익(EPS),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이브이에비타(EV/EBITDA)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EPS, PER, PBR, ROE, EV/EBITDA 등 암호같은 단어들을 볼 수 있다. 이 중에선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들도 있다. 나는 처음에 이 단어들을 볼 때 엄청 헷갈렸다. 사실 지금도 조금 헷갈리는데 이게 한국어로 해석하려고 하면 더 복잡해지는 거 같다. 다 영어 약자기 때문에 그냥 처음부터 영어로 외우는 것도 괜찮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위에서 언급한 지표들은 완벽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기업의 가치를 비교평가해 볼 수 있는 지표들이다. 지표들이 각각 의미하는 바를 정확하게 알아야 어떤 지표가 낮을 때 좋고, 높을 때 좋은지 알 수 있다. 나도 머리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라서 아는 건데 잘 안 외워지는 건 계속해서 보면 외워지기 마련이다. 정 각 단어가 머릿속에.. 더보기
[주식투자 공부] 22.가치투자 저평가주 고르기 오늘은 "가치투자"를 위해 "저평가주"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사실 "가치투자"든 "성장투자"든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 뭐니 해도 "종목 선정"이다. 확실하게 믿는 기업이 있다면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매수하면서 적정가치에 도달하거나 혹은 그 이상으로 평가받을 때 매도하면 된다. 매도 시기는 투자자들마다 다 다르고 본인이 만족하는 선에서 매도하면 된다. 혹자는, 특히 메리츠자산운용의 존리 대표님께서는 주식 투자는 자식한테 물려줄 생각으로 노후대비를 위해 해야 한다고 하시면서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면 매도하면 안 된다고 하셨다. 그 예외사항은 다음에 얘기해보도록 하자.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확장성’이라는 마인드를 갖는 것이다.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이익이 증가하면 나의.. 더보기